본문 바로가기
📖 독서 · 지식나눔

✅ 2025년 개정 「양성평등기본법」 핵심 정리성희롱 피해자 보호, 이렇게 달라집니다!

by 오케쟁이 2025. 5. 1.
반응형

성희롱 피해자 보호 강화!
피해자와 신고자에게 불이익 금지, 비밀 보호, 적절한 보호 조치까지…
2025년 10월 23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 목차

  1. 개정 이유 요약
  2. 보호 조치 강화: 성희롱 피해자 중심
  3. ‘불이익조치’의 구체적 예시
  4. 비밀 보호 의무 강화
  5. 벌칙 조항 신설
  6. 시행일 및 적용 범위
  7. 마무리 요약

📝 1. 개정 이유 요약

2025년 4월 22일, 국회를 통과한 양성평등기본법 일부개정법률
성희롱 피해자 및 신고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불이익 조치 금지, 비밀 누설 금지, 징벌 조항 도입
다양한 제도적 보완을 담고 있습니다.


🛡️ 2. 성희롱 사건 발생 시, 피해자 보호 조치 의무화

국가기관 등의 장은 성희롱 사실을 알게 된 경우,
피해자 보호를 위해 아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피해자 또는 행위자의 근무장소 변경
  • 전보, 직무 변경 등 적절한 인사 조치
  • 단, 피해자의 명시적 의사에 반하면 안 됨

👉 피해자 중심의 ‘2차 가해 방지’에 초점을 둔 조항입니다.


🚫 3. 신고자 및 피해자에 대한 '불이익 조치' 금지

다음의 8가지 불이익 조치 유형이 금지됩니다.

구분설명
① 신분상 불이익 해고, 파면, 해임 등
② 인사상 불이익 징계, 감봉, 승진제한 등
③ 직무 변경 직무 배제, 부서 이동 등
④ 보상 차별 평가 차별에 따른 임금 차등
⑤ 훈련/기회 제한 교육훈련, 예산/정보 접근 차단 등
⑥ 집단 따돌림 명단 공개, 정신적 피해 방치 등
⑦ 부당한 감사 의도적 감사나 조사 등
⑧ 기타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모든 불이익 조치

🛑 위 조치들은 모두 법으로 금지되며, 위반 시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 4. 사건 처리자에게 ‘비밀 유지 의무’ 부과

  • 성희롱 사건을 처리한 사람, 보고받은 사람,
    그 외 처리 과정에 참여한 모든 사람
    👉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비밀을 누설해서는 안 됩니다.

※ 단, 기관 보고나 관계기관 요청 시 제공은 예외입니다.


⚖️ 5. 벌칙 조항 신설 (제54조)

성희롱 신고자나 피해자에게 불이익을 준 경우,
국가기관 등의 장에게는 다음과 같은 형사처벌이 적용됩니다.

  • 3년 이하의 징역
  •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 공직자 윤리와 조직 문화 변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 6. 시행일 및 적용 범위

  • 시행일: 2025년 10월 23일
  • 적용례: 시행일 이전 발생한 성희롱 사건에도 적용

👉 과거 사건도 이 법에 따라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 7. 요약: 개정 포인트 한눈에 보기

구분내용
법령 양성평등기본법 (일부개정, 2025.4.22. 공포)
핵심 피해자 보호 강화, 불이익 금지, 비밀보장 의무화
특징 벌칙 조항 신설, 전후 사건 모두 적용
시행일 2025년 10월 23일

 

반응형